화이트헤드철학과자연주의적종교론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홀인원 조회 4회 작성일 2022-09-23 16:39:09 댓글 0

본문

求道 2 : 슈뢰딩거, 화이트헤드 그리고 과학적 물질주의

슈뢰딩거의 에세이 길을 찾아서에 관련된 이야기들입니다. 윤리적 부분에 대해서 이야기한 지난번에 이어 이번에는 화이트헤드도 고민했던 과학적 물질주의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이병서 : 이런 영상 많이 만들어 주세요
격하게 응원합니다.
현대문명의 한계를 정확히 지적하시네요
이용준 : 매우 유익하네요!
바람의 검객 : 감사합니다.

화이트헤드와 불교 / 과정과 실재


시드니최서방 : 불교가 대단하네요.. 칸트, 하이데거, 화이트헤드, 빈트겐스타인 등 거의 모든 현대철학 속에서 유비가 발견되고 있으니...
길위의인생 : 이 세계가 이 모습일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있어야 한다면 무언가 설정이 필요하겠지만 모든 것이 우연이라는 쪽에 한표를 걸겠습니다. 건강하세요. ^^
hun : 연기론과 충족이유율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중간정도 들었는데 문득 궁금증이들어서 까먹기전에 댓글 올립니다. 클라스 있는 강의 해주셔서 항상 감사합니다.
류동표 : 수고하십니다
오늘날 불교에서 가장 예민한 이슈가 무아와 참나 논쟁이라고 봅니다 무아와 참나를 강의를 듣고 싶습니다 ㅎㅎ 참나가 무아라고 하기도 하고 변 별 의견이 다 있습니다 칠팔년전에 깨달음에 대한 논쟁이 일었는데 ‥ 참 어렵습니다
발언계산기 : 존재는 찰나적 생성과 소멸의 반복 속에 존재하고 동시에 영원의 생멸인연 속에 존재한다.
찰나적 생성과 소멸을 실존이라 하여도 옳고 영원의 생멸을 실존이라 하여도 옳다.
인간은 찰나를 느끼며 시간을 너머 사고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찰나와 영원은 별개가 아니라 찰나 속에 영원이 있고 영원 속에 찰나가 있다.
모든 것은 찰나로도 영원으로도 존재하고 소멸하니 모든 것은 과정 속에 있다.

21-1(57회)_화이트헤드와 유기체철학_1강(1)

성천문화재단 홈페이지 : https://www.sungchun.or.kr/​

[화이트헤드와 유기체철학]

제1강 : 전통서양철학과 유기체철학

* 주교재 :
D.W.Sherburne, A Key to Whitehead’s Process and Reality. Chap. I, II.

* 강의계획서 및 강의 텍스트는 성천문화재단 홈페이지 회원가입 후, 아카데미의 자료실 안에 있는 진행강좌 자료실에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Hyung Dong Kim : 귀한 강의 감사합니다!

... 

#화이트헤드철학과자연주의적종교론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15,461건 46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gangbuklib.seoul.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help@ggemtv.com